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형강 톤당 가격 시세 총 정리

by 파죽지세 2025. 7. 14.
반응형
반응형

1. H형강이란? – 구조물의 뼈대를 책임지는 철강재

**H형강(H-Beam)**은 단면이 알파벳 ‘H’ 형태를 띤 구조용 철강재로, 건축물·교량·플랜

등 다양한 중·대형 구조물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양쪽 플랜지가 평행하고 중심 웨브가 직각을 이루는 구조 덕분에 수직·수평 하중에 모두 강한 저항력을 가집니다.

주요 소재는 SS400, SM490, SN490 등 구조용 탄소강이며, 제조 방식은 압연(HR) 또는 용접(Welded)으로 구분됩니다. 특히 국내 건설 시장에서는 100×100에서 900×300까지 다양한 규격이 유통되며, 톤당 단가로 거래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항목설명
주요 용도 구조물 기둥, 보, 철골 프레임
단면 형상 ‘H’ 형태
재질 SS400, SM490 등
대표 규격 100×100 ~ 900×300
단위 거래 톤당(Ton)

2. H형강 톤당 가격, 어떻게 결정될까?

H형강 톤당 가격은 단순히 수요·공급만으로 정해지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가격 결정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제 철광석 가격: 원재료인 철광석(Fe) 시세가 오르면 H형강 생산단가도 상승
  • 환율: 중국·일본산 수입 시 환율 변동에 따라 톤당 가격 등락
  • 국내 건설 수요: 아파트·인프라 공사 수요가 많을수록 철강 수요 증가 → 가격 상승
  • 유통 구조: 제조사 → 1차 유통사 → 중간상 → 최종 소비자
  • 정부 규제 및 환경 정책: 탄소배출권 가격, 탄소세 도입 등도 반영
요소가격 영향
철광석 시세 ↑ 시 가격 상승
환율 원화 약세 시 수입가 상승
건설 경기 호황일수록 수요 증가
공급량 재고 부족 시 가격 급등

3. 2025년 H형강 시세 동향 – 최근 톤당 단가 변화 요약

2025년 기준 국내 H형강 평균 톤당 가격은 약 95만 원~115만 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2025년 초에는 중국 내 철강 감산 이슈와 국내 건설 수요 확대(도시 재건축 등)로 인해 톤당 단가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월평균 톤당 가격(원)전월 대비
2025.01 1,050,000 -
2025.03 1,080,000 ▲2.8%
2025.06 1,120,000 ▲3.7%
2025.07 1,100,000 ▼1.8%
 

※ 지역에 따라 단가 차이 존재 (수도권 > 지방)
※ 단순 가공 여부(절단, 천공 등)에 따라 추가 비용 발생

4. 국산 vs 수입산 H형강 가격 비교 – 어떤 차이가 있을까?

국내 시장에서는 **국산(HYUNDAI STEEL, 동국제강 등)**과 수입산(중국, 일본) H형강이 병행 유통됩니다. 일반적으로 국산 제품은 균일한 품질과 AS, 수입산은 저렴한 단가가 장점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산 H형강도 품질이 개선되었고, 일부 공정에서는 구조검토용, 가설구조물 용도로 선호됩니다.

구분국산 H형강수입산 H형강(중국, 일본 등)
평균 톤당 가격 105만 ~ 115만 원 90만 ~ 100만 원
품질 균일함, KS 인증 가격대비 양호, KS 미획득 가능
납기 비교적 안정적 물류 지연 가능성 존재
주 용도 건축 구조재 가설물, 비주요 구조물 등

5. H형강 규격별 가격 차이 – 100×100부터 900×300까지 톤당 단가 분석

H형강은 규격에 따라 **중량(kg/m)**과 가격이 크게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크기와 두께가 클수록 톤당 가격은 비슷하지만 총 중량이 많아져 단가가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규격 (mm)단면적 (cm²)중량 (kg/m)톤당 가격 (원)평균 미터당 단가
H-100×100×6×8 21.9 17.2 약 1,100,000 약 18,920원
H-200×200×8×12 70.6 55.5 약 1,100,000 약 61,050원
H-400×400×13×21 212.1 166.3 약 1,120,000 약 186,256원
H-900×300×16×28 270.3 212.2 약 1,120,000 약 237,664원
 

※ 단가는 가공 여부, 배송비, 구매 수량 등에 따라 다름
※ kg 단위 매입 시 단가 재산정 필요

 

6. H형강 구매 팁 – 단가 낮추는 유통처 및 협상 노하우

H형강은 대형 철강 유통상이나 온라인 철강 플랫폼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단가를 낮추기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량 구매 계약: 톤수 기준 할인 가능
  • 비인기 규격 활용: 재고 과잉 품목은 단가 인하 가능성 ↑
  • 가공 없는 원소재만 요청: 절단·천공 등 가공 포함 시 가격 급등
  • 운송 조건 협상: 운반비 포함 여부 확인 필수

또한 국산 H형강을 직접 제조사와 연결하는 방식(예: 현대제철 B2B 유통망)을 활용하면 중간마진을 줄일 수 있습니다.

구매처특징
철강 유통상 다양성 높음, 협상 여지 있음
대형 철강 플랫폼 실시간 단가 비교 가능
제조사 직거래 마진 최소화, 납기 유리
 

7. H형강 외 철강재 가격 비교 – 철근, 형강, C형강과의 차이

H형강 외에도 건설·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철강재가 사용됩니다.
구조 보강이나 가설 구조물에는 각형강, C형강, 철근, 앵글강 등이 자주 사용되며, 용도에 따라 톤당 가격이 달라집니다.

철강재용도평균 톤당 가격 (2025.7 기준)
H형강 구조물 기둥/보 1,100,000원
철근 콘크리트 보강 1,200,000원
C형강 가설물, 경량 구조물 950,000원
각관 배관, 천장보강 1,000,000원
앵글강 지지대, 브라켓 1,050,000원
 

H형강은 강도·내구성에서 가장 우수한 철강재이며, 구조적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공사 현장에서 주로 선택됩니다.

 

 

2025.06.30 - 버팀목전세대출 중도해지 총 정리

 

버팀목전세대출 중도해지 총 정리

✅ 1. 버팀목전세대출 중도해지란 무엇인가?버팀목전세대출 중도해지란, 약정한 대출기간이 끝나기 전에 대출을 조기 종료하고 상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세 기간이 2년인데 1년 만

fajug.co.kr

 

 

2025.06.30 - 디딤돌 생애최초 대출 조건 및 신청자격 총 정리

 

디딤돌 생애최초 대출 조건 및 신청자격 총 정리

✅ 1. 디딤돌 생애최초 대출이란?‘디딤돌 생애최초 대출’은 무주택 서민의 주택 구입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저금리 주택담보대출 제도입니다. 특히 '생애최초'라는 용어가 포함된 이유는,

fajug.co.kr

 

 

2025.06.30 - 주거래통장 장점 총 정리

 

주거래통장 장점 총 정리

✅ 1. 주거래통장이란? 기본 개념과 정의‘주거래통장’이란, 개인이 주기적으로 금융거래를 집중적으로 이용하는 주된 계좌를 의미합니다. 월급 수령, 공과금 납부, 자동이체, 신용카드 결제

fajug.co.kr

 

 

2025.06.26  - 2025 경남동행론 대출 총정리

 

2025 경남동행론 대출 총정리

1. 경남동행론이란? — 도민을 위한 따뜻한 금융 지원 제도 2025년부터 시행되는 경남동행론은 경상남도에서 신용 취약 계층을 위해 준비한 서민 맞춤형 금융복지 제도입니다. 기존 금융권에서

fajug.co.kr

 

 

2025.06.18 - 민생회복지원금 지급내용

 

민생회복지원금 지급내용

1.민생회복지원금이란 이재명 정부의 민생회복지원금은 전 국민에게 보편 지급하되, 소득 수준에 따라 15만~50만 원 차등 지급하며, 하반기 지급 시작을 목표로 한 소비 진작형 지역화폐 정책입

fajug.co.kr

 

 

반응형